책
-
아마존의 콘텐츠 상생 전략아마존닷컴 경제학 2020. 10. 2. 22:48
오랜만에 외부 발표한 자료를 공유합니다. https://www.slideshare.net/pageraum2/ss-238665815?fbclid=IwAR1mxX7y7889xyCp-2oAxbjQILY2yD2d07O3Zb46XdiIUGhgnGzirh-jxrM 아마존의 콘텐츠 상생 전략_류영호 지난 8월 20일에 진행된 '2020 디지털출판세미나'(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주최)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아마존의 주요 현황, 콘텐츠 사업 개요 및 채널/포맷 등 상생 전략을 간략하게 정리했습�� www.slideshare.net 아마존닷컴 경제학 Amazonomics(개정판)(acornLoft) 지구상에서 가장 고객지향적인 기업이자 최고의 플랫폼으로 성장한 아마존닷컴과 창업자 제프 베조스의 성공 전략을 담은 『아마존닷..
-
전자책 콘텐츠 플랫폼과 출판외부 매체 기고 2020. 3. 31. 23:46
오늘날 거의 모든 산업에서 기존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관계 변화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변화가 촉발된 원인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서 찾을 수 있다. 출판 생태계도 예외는 아니다. 종이책 중심의 출판 제작과 유통 방식도 전자책과 플랫폼을 통한 방식으로 확장하고 있다. 여전히 종이책이 출판 콘텐츠 시장의 주류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뉴미디어 시대에 웹소설과 웹툰의 급성장과 각종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 시간이 늘어나면서 종이책 시장도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사람들의 콘텐츠 이용 시간을 누가 더 많이 확보하느냐에 따라 시장에서의 성패가 좌우되고 있다. 국내 전자책 시장이 해외에 비해 더딘 성장률을 보이고 있지만, 최근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서비스의 인기..
-
아마존 국내 진출에 따른 출판업계 영향과 대응 전망 (기획회의, 462호)외부 매체 기고 2018. 5. 13. 00:09
아마존의 한국 진출 시나리오와 출판업계의 변화 전망 류영호 (교보문고 콘텐츠사업단 차장, 『아마존닷컴 경제학』 저자) 온라인 서점으로 시작한 아마존은 상품 다각화, IT 인프라 서비스, 스마트홈 서비스 등을 통해 세계 최고의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했다. 국가별 진출 현황을 보면, 미국(1995년)을 시작으로, 영국과 독일(1998년), 일본과 프랑스(2000년), 캐나다(2002년), 중국(2004년), 이탈리아(2010년), 스페인(2011년), 브라질(2012년), 인도와 호주(2013년), 멕시코(2015년), 네덜란드(2017년)까지 총 14개국에 현지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아마존이 진출한 국가의 이커머스(e-commerce) 시장은 대부분 아마존이 시장점율율 1위를 차지할 만큼 성장을 거듭하고 ..
-
독립출판 활성화를 만든 개인출판 플랫폼 (기획회의, 459호)외부 매체 기고 2018. 2. 27. 19:47
독립출판 활성화를 만든 개인출판 플랫폼 류영호(교보문고 콘텐츠사업단 차장)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미디어 채널이 확장되면서 사람들은 연결된 모든 미디어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출판 생태계도 예외는 아니다. 전문가의 영역이었던 출판 기획과 제작·유통도 일반인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출간을 목적으로 하는 작가들은 기성 출판사를 통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종이책과 전자책 출간할 수 있다. 물론, 출판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콘텐츠의 수준과 상업적 성공 여부는 기성 출판과 직접 비교하기 어려운 점도 있다. 하지만, 개인이 직접 출판할 수 있는 프로세스는 미디어의 생성과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출판 모델로 자리잡은 상황이다. 종이책에서 전자책으로 출판 콘텐츠 포맷이 확장되고 출판 기회를..
-
미국의 독립서점은 어떻게 부활했을까? (기획회의, 458호)외부 매체 기고 2018. 2. 22. 19:30
미국의 독립서점은 어떻게 부활했을까? 류영호(교보문고 콘텐츠사업단 차장) 일반적으로 독립서점(independent bookstore)은 규모와 운영 인력이 중소형 규모로 소유 구조가 개인 또는 단체이며, 거대 상업 자본에서 독립된 서점을 의미한다. 이와 대비되는 대형 체인형 서점은 대부분 주식회사 법인의 형태로 대규모의 투자 자본가 또는 기업이 소유하고 있다. 미국은 1980년대부터 반스앤노블(Barnes&Noble)과 보더스(Borders) 같은 대형 체인형 서점이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미국 전역의 대형 쇼핑몰에 입점했고, 30%씩 할인 판매를 단행하면서 많은 중소형 서점들이 문을 닫게 되었다. 1990년대가 되면서 반스앤노블과 아마존이 온라인 서점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1995년에 ..
-
전자책 시장의 주요 흐름과 출판 생태계의 방향 <출판문화-2017년 10월호>외부 매체 기고 2017. 9. 21. 11:16
전자책 시장의 주요 흐름과 출판 생태계의 방향 류영호 (교보문고 콘텐츠사업단 차장) 2007년 아마존이 킨들을 출시하면서 매년 급속한 성장을 이어가던 전자책은 미국 출판시장의 25%, 영국은 15%, 일본은 10% 내외로 출판 시장 내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영어권 국가를 중심으로 성장률에 정체 신호가 들어왔다. 미국출판협회(Association of American Publishers, AAP) 집계에 따르면, 2016년 1월부터 9월까지 도서 판매에서 전자책 매출은 18.7% 감소하고, 종이책은 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출판협회(Publishers Association, PA)도 2016년 영국의 전자책 판매가 17% 감소, 종이책은 7%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전자책 전용 ..
-
해외 출판 시장의 디지털·온라인 마케팅 사례(해외출판동향_1708_KPIPA)외부 매체 기고 2017. 8. 21. 15:04
해외 출판 시장의 디지털·온라인 마케팅 사례 류영호(교보문고 콘텐츠사업단 차장) 뉴미디어의 시대는 출판 콘텐츠 마케팅에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대중들의 콘텐츠 소비 구조가 기존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급속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과 함께 유통되는 콘텐츠는 멀티미디어에 최적화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각종 산업 통계 자료에 따르면, 세계 출판 시장은 소폭이지만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출판 마케팅에도 온·오프라인 채널과 종이책·전자책 포맷별로 다양한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독자와의 대면 접촉이 수월한 오프라인은 라이프 스타일(life style) 컨셉과 큐레이션(curation)이 적용된 공간 구성이 유행이다. 온라인은 웹과 모바일을 넘나들면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국내 출판 플랫폼의 현황 (기획회의, 443호)외부 매체 기고 2017. 7. 30. 09:32
플랫폼(platform)은 본래 물리적 구조물 작업을 위한 공용화된 토대라는 의미다. 과거에 플랫폼은 상품과 서비스 제공자와 수용 인원의 한계 등 공간의 제약성이 강했다. 하지만,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과 함께 플랫폼의 개념은 공간의 제약없이 교류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인식의 전환도 진행되고 있다.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은 생산자와 이용자의 자원들을 기반으로 최적의 조합을 찾아내고 수많은 네트워크와 기회를 만들고 있다. 출판은 플랫폼 비즈니스를 어떻게 수용하고 있을까? 작가-출판사-서점의 전통적인 유통 구조와 텍스트 중심의 출판 콘텐츠는 기술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편이다. 하지만, 종이책 중심의 포맷에서 벗어난 물리적 변화는 꾸준하게 시도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