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
틱톡이 바꾼 해외 출판시장의 변화출판과 서점 이야기 2022. 10. 4. 10:52
틱톡(TikTok)은 3초에서 10분 정도의 길이로 영상을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글로벌 숏폼(short form) 플랫폼이다. 2012년에 설립한 IT기업 바이트댄스(Bytedance)가 만들었고, 2016년 150개 국가 및 지역에서 75개의 언어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국내에서는 2017년 11월부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글로벌 콘텐츠 네트워크 기업인 클라우드플레어에 따르면, 2021년 틱톡은 구글을 밀어내고 가장 많은 방문자 수를 기록했다. 당시 틱톡에는 시간당 500만 개 이상의 영상이 업로드될 정도로 사용자들의 활발한 이용량은 계속되고 있다. 틱톡의 주로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의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틱톡은 소셜, 동영상 스트리밍, 음악 스트리밍 사이의..
-
독자지향형 플랫폼이 성공하는 시대 ; 세계 최대 소셜 리딩 플랫폼 굿리즈(Goodreads)외부 매체 기고 2016. 6. 3. 15:17
"플랫폼을 가진 기업이 시장의 룰을 지배한다."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Jeff Bezos)는 모든 사업 영역에서 플랫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온라인 서점으로 시작한 아마존이 세계 최고의 기업으로 성장한 이유는 강력한 플랫폼이 되기 위해 핵심 역량을 집중한 것에 있다. 플랫폼은 이용자가 상품과 서비스를 접할 수 있는 전체 구조를 의미한다. 대부분 채널별 유통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지만,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 커뮤니티가 활발한 플랫폼이 성장하고 있다. 플랫폼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지속적인 선택과 활동이 필요하다. 출판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독자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활동으로 이어지게 하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 소셜 네트워크와 모바일 서비스가 일반화되면서 독자들은 그만큼 스마트해지고..
-
디지로그 시대의 서점 (서점은 어떻게 변화하는가)출판과 서점 이야기 2015. 12. 10. 12:37
출처: http://real.tsite.jp/umeda/news 2000년대 중반 아날로그 사회에서 디지털로 이행하는 과도기라는 의미로 디지로그(Digilog)라는 개념이 등장함. 2010년부터 모바일 환경이 확장되면서, 출판 유통 시장에 디지로그는 여전히 유효한 키워드임. 시장 측면에서 서점을 보는 관점은 다양함. 오프라인-온라인, 종이책-전자책, 대형 체인-중소형/독립형, 수도권-지방, B2C-B2B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구분되는 두 가지의 관점이 디지로그 형태로 어울리면서 서점도 변화의 시대를 지나고 있음. 과연 서점은 출판 시장에서 어떤 위치에 있으며, 어디를 바라봐야할지 현장 이야기와 미래 전략을 위한 키워드를 제시하고자 함. 세계 출판 시장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어떠한가보더스(Borders)..
-
종이책과 전자책 Co-Marketing전자책 관련 이야기 2012. 3. 7. 14:48
종이책과 전자책은 기본적으로 대체적인 속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유료라는 컨셉에서 보면 두 개의 포맷 중 하나를 구입하면 다른 포맷을 굳이 유료로 구입하지 않는다. 출판사와 유통사 관점에서 보면 소비자(독자)의 책 구입패턴에 대해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과거 종이를 통해 책이라는 매체가 제작되고 유통되었던 환경은 앞으로도 유효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은 점차 축소될 것이다. 미디어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책을 구입하고 독서를 하는 비율과 환경은 점점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더라도 독자들의 패턴은 출판사와 유통사들의 생각과는 다른 각도로 뻗어나가고 있다. 독자들은 ‘디스플레이 리딩’에 빠르게 익숙해져가고 있다. 그것이 책이 아니라 일반 정보를 나열한 웹페이지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