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미국, 시골 도서관이 도시 도서관보다 전자책 많이 봐
    전자책 관련 이야기 2013. 10. 7. 10:08

    본문글

    img_14368

    새로운 데이터를 통해 미 연방정부가 처음으로 살펴본 작은 도서관의 중요성


    미국 내의 작은도서관들이 중심이 되어 지역 사회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기 위해 중요한 서비스와 자원을 제공하고 있다. 미국 박물관도서관서비스기구(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IMLS)1)의 ‘미국 작은도서관 현황’ 보고서는 농촌 지역과 작은도서관 서비스의 새로운 변화를 처음으로 집중 분석했다. 이 보고서는 지역사회에서 중요한 자산으로서 작은도서관들의 분포와 서비스 이용, 재정 건전성과 직원 현황을 개괄하고 있다. 보고서의 내용 중 가장 놀라운 것은 작은도서관 또는 시골 지역 도서관으로 분류될 수 있는 공공도서관의 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6,098개의 도서관(총 공공도서관의 77.1%)이 작은도서관에 해당하며, 총 4천6백만 명(총인구의 15.4%)이 작은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나아가, 인터넷망 접근과 전자책 이용 부문에서는 시골 지역 도서관이 도시 지역 도서관을 추월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히고 있다.

    수잔 힐드레스(Susan Hildreth) IMLS 이사는 “이 보고서는 미국 시골 지역의 건강과 활력을 고민하는 정책입안자들이 반드시 봐야 하는 보고서다”라면서 “교육과 경제 개발문제든, 인터넷 접근 문제든 간에 작은도서관과 시골 지역 도서관들은 소도시와 시골 지역 주민들의 커뮤니케이션의 중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조사 분석을 위해 IMLS는 그동안 공공도서관에 적용하려 할 때마다 널리 합의된 개념 정의가 부족한 “작다”는 것과 “시골”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정의했다. “시골”은 미인구조사국 국립교육통계센터가 도시화한 지역 또는 도시 클러스터에 속하지 않는 지역을 나타내기 위해 개발한 지역 기준을 활용해 정의했으며, “작은도서관”은 법적으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인구가 25,000명 이하인 공공도서관이라고 정의했다.

    보고서에서 중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11 회계연도에 총 8,956개 공공도서관 가운데 77.1%가 작은도서관에 해당했다. 모든 공공도서관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46.8%가 시골 지역 도서관에 속했다. 이같이 많은 도서관이 미국 전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는 사실은 지역 사회에서 도서관 서비스가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 2011회계연도에 시골의 공공도서관 방문자 수는 지난 3년간 4.2% 증가해 1,676만 명을 기록했으며, 작은공공도서관은 2011 회계 연도의 방문자 수가 3,012만 명을 기록하여 지난 3년 동안 4.6% 증가했다. 다른 도서관들의 1인 당 서비스 이용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작은도서관의 서비스 이용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은 시골 지역 주민들의 삶에 작은도서관이 상당히 탄력적이고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 2011회계연도에 시골 지역 도서관에는 49,048대의 공용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지난 3년간 20.2% 증가한 수치다. 도시 지역 공공도서관과 비교했을 때, 시골 지역 도서관의 1인당 사용 가능한 공용 인터넷 연결 컴퓨터와 전자책 수가 더 높은 수준이다. 교외 및 도회지와 비교해서 인터넷망 시설이 떨어지는 시골 지역임을 고려하면, 21세기에 필요한 기술과 직접 관련돼 있는 중요한 디지털 자원에 접근하는 데 있어 공공도서관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는 바다.

    더 자세한 연구와 데이터, IMLS 기획연구평가국의 발간물은 IMLS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1) IMLS는 미국 전역의 123,000개의 도서관과 17,500개의 박물관에 대한 연방정부 차원의 지원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주된 임무는 도서관과 박물관의 혁신과 평생 교육, 문화와 시민 참여를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보조금 조성과 정책개발, 연구 활동을 통해 도서관과 박물관이 지역사회와 개인이 번영하는 것을 돕는 가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출처 : http://wl.nl.go.kr/?p=14368


Designed by Tistory.